-
[대학교 시설관리직] 대학교 시설관리직, 할만한가?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2023. 11. 24. 17:25728x90반응형
이전 발행글
2023.10.19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대학교 시설관리직이란?
2023.10.20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환경관리 업무 등.
2023.10.23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건설공사 업무 및 임대 업무 등.
2023.10.25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소액 실내 건축 공사 업무 프로세스(건축, 전기)
2023.10.26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소액 시설 공사시 알아두면 좋은 것들
2023.10.27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입찰로 진행하는 실내 건축 공사 업무 프로세스
2023.11.02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시설공사 감사 지적사례
2023.11.14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대학정보공시 업무에 관하여
2023.11.20 -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 [대학교 시설관리직] 빠뜨리기 쉬운 시설공사 내용(재해예방 기술지도 대상, 감리 대상, 하자검사 관련)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업무라기 보다는 시설관리직으로서 어떤지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워라밸은 어떤가?
우선 대학 교직원을 하는 이유중 가장 큰건 워라밸이겠죠, 요즘 타대학 소식들을 들어보니 점점 없어지는 추세지만 방학 중 단축근무가 있으며 동절기 단축근무, 연차 외 휴가 등 매력적인 요소가 많은습니다. 우선 제가 다니고 있는 학교 기준으로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모든 내용은 대바대이므로, 이런것도 있구나 하는 참고정도로만 해석 부탁드립니다.)
-방학 단축근무
방학이 대학은 거의 1년에 5.5개월 정도로 긴 편에 속하는데요, 이 기간동안은 단축근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출근은 9시 30분까지 이고, 퇴근은 15시30분입니다. 부서마다 다르긴 하지만 칼퇴근도 가능한 편입니다.
물론 시설관리직으로서 공사가 한참 진행중일 때는 칼퇴근이 살짝 어렵다는게 아쉬울 때도 있습니다.
-동절기 단축근무
11월부터는 해가 짧아져 방학 전까지 30분 빨리 퇴근이 가능합니다.
-방학 휴가
방학기간 중 연차 외 휴가가 있습니다. 하계방학은 7일, 동계방학은 5일 사용가능합니다. 이 기간을 이용해 해외여행도 무리없이 다녀올 수도 있었습니다.(물론 갔다와서 엄청 바쁜건 감수해야죠)
방학때 미국도 다녀왔어요 2. 급여수준은 어떤가?
거의 모든 대학이 등록금동결을 한 뒤로 거의 인상이 없다고 합니다. 저는 연봉제로 일을하고 있으며 현재 성과금, 복리후생비를 포함하면 세전 약 4,000만원 정도를 수령하고 있습니다. 물론 사학연금과, 공제회비로 빠져나가는 금액이 있어 실수령은 사기업 대비했을 때 보다는 적습니다. 제 경력은 2년입니다. 그리고 연차는 안쓰면 연차 보상비가 나옵니다.
3. 할만한가?
우선 시설 교직원이 소수이고 학교 전체를 관리하기에 타 부서에 비해 일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학생민원, 교수민원, 강화되는 법령 등 챙겨야 할 부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리고 시설팀에 소속되면 여러가지 법정 선임자로 선임 되는데 본인의 자격을 걸고 선임되고, 그 책임 또한 지어지지만 딱히 보상은 없습니다. 이렇기에 어차피 다른직원하고 급여도 똑같이 받는데 나만 위험한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이런 약간의 불합리함을 견뎌야 합니다.
장점인듯 아닌 듯 하지만 부서이동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한 업무에 통달할 수 있으며 다른 업무에 대해서는 딱히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매년 반복되는 업무가 대부분이라 이러한 일에 염증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다시 한 번 고려해봐야 할 것입니다.
학생들과 생활을 같이하다보니, 칙칙한 회사보다는 훨 밝은 분위기입니다. 학생민원으로 머리아플 때 도 있지만 학생들이 버스킹도 하고 제가 관리하고 있는 캠퍼스에서 즐겁게 지내는 모습들을 보고 있으면 그 또한 힐링이 되는 듯 합니다.
점점 줄어드는 학생수로 인해, 학교의 위기가 찾아올 수 있어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일을 해야 합니다.
유명한 4년제대학교, 특별한 경쟁력이 있는 학교(의대, 간호대, 대학병원 등), 대학 통합이 가능한 대학교 등 줄어드는 학생수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는 학교인지 확인을 한 뒤 입사하시기 바랍니다.(사학연금은 10년은 넣어야 받을 수 있기에 10년은 학교를 다닌다는 생각으로 고르시기 바랍니다.)
저는 제 기준으로는 할만한 것 같습니다. 칼퇴는 아니더라도 제가 제 워라밸은 잘챙기고 있을 뿐더러, 시공사 다닐때 보다는 훨 몸이 편해졌기 때문에요, 그리고 일년에 한 번은 떠날 수 있는 해외여행은 최고의낙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행 하나 보고 일년 일한다고 해도 무방하네요,,,
정리하며,,,
업무 외로 적으려니 딱히 적을 말이 많지 않네요, 그러나 대학 시설관리직이든 대학 교직원이든 이 분야에 준비를 하는 사람에게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작성한 내용이니 가볍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우당탕탕 대학교 시설관리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교 시설관리직] 학교시설공사, 전기공사 분리발주 항목 세분화 개정 예정 (1) 2023.11.28 [대학교 시설관리직] 빠뜨리기 쉬운 시설공사 내용(재해예방 기술지도 대상, 감리 대상, 하자검사 관련) (0) 2023.11.20 [대학교 시설관리직] 대학정보공시 업무에 관하여 (0) 2023.11.14 [대학교 시설관리직] 시설공사 감사 지적사례 (1) 2023.11.02 [대학교 시설관리직] 입찰로 진행하는 실내 건축 공사 업무 프로세스 (1) 2023.10.27